요즘 한참 문제가 되고있는게 랜섬워어 인데요
ransom(몸값)rhk ware(제품)의 합성어로 컴퓨터 사용자의 파일 문서 + 사진등 자료를 인질로 잡고 돈을 요구한다고 해서 붙여진 단어입니다.
랜섬웨어에 PC가 감연된 경우 문서파일이 복잡한 알고리즘으로 암호화 되어 파일을 열어도 내용을 알수가 없게됩니다.
과거에는 해외에서 걸리는 해킹정도로 생각하고 국내에서는 크게 이슈화되지 않았는데요
어제 IT 관련 사이트에서 광고 서버 내의 플래시파일에 랜섬웨어가 삽입되어 윈도우 업데이트가 되지않은 PC를 공격했습니다.
일단 내 컴퓨터가 랜섬웨어에 감염되었다고 생각하신다면 트렌드마이크로의 위협제거툴(Trend Micro Anti-Threat Toolkit)을 이용하여 예방하시기 바랍니다.
트렌드마이크로의 위협제거툴 다운로드 링크
http://www.trendmicro.co.kr/kr/security-intelligence/anti-threat-toolkit/index.html
특히나 PC가 감염된 상태라면 이메일이나 메신져 프로그램을 통해 감염파일을 전송해서 컴퓨터내에 잠복해있다가 인터넷 뱅킹 정보라던가, 개인정보를 탈취해서 범죄에 악용될 우려가 있습니다.
영국과 미국에서도 악성코드를 차단하기 위해서 노력하고있지만 아직까지 100% 차단은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위의 사진과같이 비트코인(가상화폐)를 이용해서 사고파는 방식으로 돈을 챙기고있습니다.
이 이외에도 머니팩(대충.. 한국으로 따지면 해피머니 상품권 같은??)의 일련번호를 받는방식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해커들은 이 램섬웨어로 감염되어 RSA-2048이라는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해서 문서의 내용을 볼수없도록 만든후 다시 RSA-2048 알고리즘을 해독할수 있는 프로그램을 돈을받고 파는식으로 돈을벌고있습니다.
현재까지 알려진 해결방법으로는 바이러스를 제거하는게 제일인데요
첫번째로 컴퓨터를 재부팅하면서 F8키를 눌러서 부팅옵션이 나오게 해야합니다.
부팅옵션에서 안전모드 With 네트워크를 선택해서 부팅하신다음 위의 주소에서 각자가 사용하는 OS에 맞는 32비트, 64비트를 선택해서 다운로드 받으신후 실행하시면 됩니다.
이런저런 설명을 듣고 해봐도 잘안되는것같고... 불안하다 하시는분은..
컴퓨터 수리점같은곳으로 가셔서 하드를 깨끗히 포멧해버리고 새로 OS를 설치하시는방법이 깔끔하긴 합니다.
(다만 그냥 컴퓨터를 맞기게되면 윈도우를 재설치하는수준으로 끝나는경우가 많아서 제대로 지워질지는 의문이므로 반드시 포멧해달라고 하시고 확인하시는게 좋습니다.)
'내가아는 IT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신사별 갤럭시 S6 엣지 보조금 보조금 (0) | 2015.04.10 |
---|---|
이동통신 가입비 폐지 및 2만원대 무제한 음성통화 (0) | 2015.04.01 |
트위터, 스트리밍 앱 출시 (0) | 2015.03.28 |
아마존의 Cloud Drive (0) | 2015.03.27 |
5번째 위성 아리랑 3호 발사 (0) | 2015.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