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닷속 유해생물로 알려진 끈벌레가 2013년 봄에 한강 하류에 나타나면서 국내에 처음 알려졌는데요
5일 고양시 행주어촌계에 따르면 지난달 말 조업을 시작한 이후 한강 하류인 행주대교와 김포 수중보 사이에서 붉은 끈벌레가 대량으로 발견되었습니다.
어민들이 실뱀장어를 잡으려고 설치한 그물에 끈벌레가 함께 걸린게 발견되었는데요
행주 어촌계는 어민 1인당 약 7개씩 포획용 그물을 한강에 설치하는데요, 그물마다 끈벌레와 다수의 죽은 뱀장어가 같이 걸렸습니다.
심한경우 그물한개에 실뱀장어 한두마리와 끈벌레가 가득찬 경우도 있었다고 합니다.
파주또한 마찬가지인데요 행주어촌계장은 "7년전 처음 붉은 끈벌레가 한두마리 보일때는 크게 신경쓰지 않았는데, 올해는 감당할 수 없는 수준으로 퍼졌다"라며 "마치 재앙이 찾아온 것 같다" 라고 말했습니다.
이같은 피해 보고에 따라 해양수산부 산하 국립수산과학원은 이번주중 현장조사를 벌이기로 했습니다.
2013년 처음 피해가 보고되었을당시에는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는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과 함께 합동 조사를 벌인 결과 독성이 검출되지 않았고, 실뱀장어의 생존에도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밝혔는데요
이에 어민들은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습니다.
일부 어민은 "끈벌레 때문에 실뱀장어 90%가 폐사하고 있다" "어제 오늘 수확이 하나도 없다"
"눈앞의 피해가 자명한데 독성이 없다는 결과를 받아들일수 없다" 등의 이야기가 나오고있습니다.
25일 고양 행주어촌계 관계자가 JTBC와의 인터뷰를 했는데요 "처음에는 붉은 지렁이라고 생각했는데 하루에 수백Kg씩 잡히는것을 이상하게 여겨 고양시에 조사를 의뢰했다"라고 말했습니다.
끈벌레는 20~30cm 크기로 머리 부분은 원통형에 가깝지만 꼬리 부분으로 가면서 납작해져 이동성이 좋고 모래나 펄속, 해초류 사이, 바위 밑에 서식합니다.
소화계가 잘 발달되어 있어서 머리의 배쪽에 있는 입에서 식도.장.항문으로 이어지며 체강이 없으며, 근육층과 내장기관들 사이는 부드러운 조직으로 차있습니다.
신경계 독성을 뿜어내 마비시키는 방법으로 환영동물, 갑각류, 연체동물등 어류를 마구잡이로 잡아먹는 유해생물입니다.
국립수산과학원 관계자의 말에 따르면 "국내 민물지역에서 유형동물이 보고되기는 처음"이라며 말하며 " 정확한 종을 밝혀내는 데만 1년 가까이 기간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라고 덧붙였습니다.
지금 현재도 어민들의 피해는 막심한데요, 붉은 끈벌레의 종을 밝히는데만 1년... 거기에 대책을 마련하고 실행하고.. 다시 환경생태계가 돌아오는데는 몇년의 시간이 흐를지는 아무도 알수없는 일입니다.
어쨰서 생긴일인지,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를 명명백백히 밝히고, 어민들의 피해를 보호해줄 수 있는 방법을 찾는게 급선무인것 같습니다.
'하루의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뚜라미 보일러 거짓광고 제재 (2) | 2015.04.06 |
---|---|
갤럭시 S6 벤드게이트 실험, 아이폰 6 도 같은실험결과? (0) | 2015.04.06 |
진로그룹 장진호 전 회장 사망 (0) | 2015.04.05 |
이성애 경남 도의원 무상급식 논란에 사과 (0) | 2015.04.05 |
꽃보다 할배 그리스편, 이서진 최지우 (0) | 2015.04.04 |